반응형
#금속의취성 #저온취성 #청열취성 #적열취성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금속재료기능장, 기술지도사 금속분야, 금속재료기술사 단골 기출문제인 금속의 취성에 대해서 정리해보자.
저온취성(Low temperature brittlrness)
1. 탄소강은 실온보다 저온으로 강하되면 인장강도, 경도 탄성계수, 항복점, 피로한계 등은 점차 증가하나 연신율, 단면수축율, 충격치 등은 감소하여 취약해진다.
2. 탄소강의 경우 -70℃ 부근에서 충격치가 0에 가깝게 되고 이로 인해 취성이 생긴다.
3. 저온취성 파괴의 발생 촉진 요인으로는
1) 온도의 저하
2) 강재의 저온특성
3) 예리한 노치를 가진 것
4) 노치부에 있어서의 소성의 소멸
5) 인장잔류응력의 존재
6) 부하특성의 영향 등
4. 구조물에 예리한 노치와 인장잔류응력이 존재하는 경우 저온취성의 발생 경향은 특히 현저하며 부하특성에 따라서도 상당히 영향을 받는다.
청열취성
1. 탄소강 등에서 탄성계수, 탄성한계, 항복점 등은 온도가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2. 인장강도는 200~300℃까지는 상승하여 최대가 되고 연신율과 단면수축율은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3. 인강강도가 최대가 되는 점에서 충격치가 최저값을 나타내며 취약해진다.
4. N에 의해 기인되며, 표면이 청색으로 변화하여 청열취성이라고 일컫는다.
적열취성
1. 고온으로 가열 시 저융점인 황(S)이 액상이 되어 결정립계로 편석 되어 얇은 필름 형태로 존재하며 온도가 내려가면 얇은 판상의 고체로 변한다.
2. 이런 경우 충격을 받으면 입계를 따라 파괴될 수 있으며, 강 중에 황은 Mn과 결합하여 MnS를 만들나 과다 함량 시 FeS 형성 등 철과 공정을 만들며 입계에 망상으로 분포된 상태의 유황은 0.02% 있어도 인장력, 연신율, 충격치가 급감하며 또한 FeS는 융점이 낮으므로(1,193℃) 고온에서 약하고 가공할 때 파괴의 원인이 된다.
#금속의취성 #저온취성 #청열취성 #적열취성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반응형
'금속재료 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응력 변태응력 발생기구 담금질균열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1) | 2021.07.17 |
---|---|
고온용강 종류 특징 사용가능온도 ASTM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0) | 2021.03.13 |
금속의 응고 엠브리오 핵 응고잠열 자유에너지 과냉각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0) | 2021.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