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괴의종류 #킬드강 #림드강 #세미킬드강 #캡트강
I. 강괴의 종류
1. 철광석에서 얻은 선철의 탄소와 불순물 제거를 위해 제강공정에 제거하고 탈산정도에 따라 강종을 구분한다.
1. 탈산 정도에 따라 Killed강, Rimmed강, Semi Killed강으로 분류한다.
2. 탈산제의 종류 : Fe-Mn (약탈산제) 과 Fe-Si, Al (강탈산제)이 있다.
II. 킬드강 (Killed Steel Ingot, 진정강)
1. Fe-Si, Al 등의 강탈산제로 충분히 탈산시키 강괴이다.
2. 강질이 대체로 균질하며 기계적 성질이 양호하고 방향성이 좋다.
3. 기포나 편석은 없으나 표면에 헤어크랙 (Hair crack)이 생기기 쉽다.
4. 중상상부에 큰 수축관이 생겨 불순물이 집적된다.
5. 적용범위 : 균질을 요하는 합금강, 침탄강, 탄소 = 0.3% 이상, 특수강 등 고급강에 사용
6. 가격이 비싸다.
III. 림드강 (Rimmed Steel Ingot)
1. 평로, 전기로, 전로 등에서 생성된 용강을 Fe-Mn으로 가볍게 탈산 시킨 강괴다.
2. 용강이 비등작용 (Boiling action, Rimming action) 이 일어난다.
3. 응고 후 많은 기포가 발생하며 주상정이 테두리에 생긴다.
4. 강괴 내부에 기포, 편석이 생겨 강질이 균일치 못하나 압연, 단접으로 표면 순도가 높고 압연, 봉, 파이프, 보통 저탄소강(0.15% C 이하)의 구조용 강재로 사용한다.
5. 가격이 저렴하므로 일반 구조용 강에 많이 사용된다.
IV. 세미킬드강 (Semi Killed Steel Ingot)
1. 킬드강보다 탈산도가 적고 저탄소강, 중탄소강에 Al으로 탈산을 가볍게 한 강이다.
2. 킬드강과 림드강의 중간 성질의 강이며 소형의 수축공과 수소의 기포만 존재한다.
3. 적용범위 : 구조용강 (0.15~0.3% C) 강판, 원강의 재료에 사용한다.
V. 캡트강 (Capped Steel Ingot)
1. 용강을 주입한 후 뚜껑을 씌워 용강의 비등을 억제시켜 림드부분을 얇게 하므로 내부 편석을 적게 한 강으로 박판, 스트립, 주석철판, 형강 등의 원재료에 사용된다.
2. 림드강괴를 변형시킨 강괴이며 내부결함은 적으나 표면결함이 많다.
#강괴의종류 #킬드강 #림드강 #세미킬드강 #캡트강
반응형
'금속재료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1,2회 통합 금속재료기사 필기 출제문제 기출문제 답안 (0) | 2020.06.07 |
---|---|
강의 제조법 제강법 금속재료기사 노트 (0) | 2020.06.01 |
황동의 화학적 성질, 탈아연 부식, 자연균열, 고온 탈아연 금속재료기사 노트 (0) | 2020.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