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속재료 기술사

내화물 Refractory 내화재료 구비조건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문제풀이

by 금속재료맨 2022. 1. 21.
반응형

#내화물 #Refractory #내화재료 #내화물분류 #구비조건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내화물, 내화재료

I. 개요
내화재료 또는 내화물이란 고온 공업에서 이용되는 고열에 잘 용융되지 않는 요업 재료를 말하며, 내화물이란 제겔 콘 (Seger cone) 26번 (SK 26) 이상의 내화도 1580'C 를 가지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내화물 성능은 사용되는 분위기가 산성인지, 환원성인지, 또는 노내에서 분진, 슬래그, 글라스 등과 접촉하는지 안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II. 내화물의 분류
내화물을 화학 조성에 따라 아래표와 같이 분류한다.

내화물의 분류

 

III. 내화물의 구비조건
내화물의 구비조건은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내화도가 클 것
2. 융정 및 연화점이 높을 것
3. 마모에 강할 것
4. 화학적 부식에 강할 것
5. 급격한 온도 변화에 견딜 것
6. 열전도도가 적을 것
7. 열용량 : 열용량이 크면 노벽의 축열이 크므로 단속적으로 사용하는 노에서는 작은 것이 좋으나 축열실이 각자 벽돌인 경우에는 큰 것이 좋다.
8. 경제적이고 제조가 쉬울 것

 

IV. 내화도

1. 내화도는 내화물의 내화성의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KS L 8001에 따라 SK 26~42 번까지 59종이 있다.
2. 각종 원료의 배합 비율을 변화시켜 용융점을 바꾸어 SK 번호를 부여하고 이를 제젤 콘이라고 부르는 작은 삼각뿔로 구워서 만든 표준 시험편과, 이것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내화 시험편을 동시에 가열하여 시험편이 굽혀서 꼭지 부분이 바닥에 맞닿을 때에 그것과 같은 상태를 표시하는 표준 시험편의 번호로써 내화도를 표시한다.

 

V. 특수 내화물

1. 지르코니아 (Zirconia, ZrO2) 내화물의 융점은 2710'C 이며, 열전도율이 적다.
2. 토리아 (Thoria, ThO2) 내화물의 융점은 약 3000'C 이다.

#내화물 #Refractory #내화재료 #내화물분류 #구비조건 #금속재료기술사 #서브노트

반응형

댓글